Travel & People

People

[Book's Day] 이병주의 '소설 알렉산드리아'

Onepark 2023. 4. 13. 07:40

G : 금년 봄은 꽃 축제가 열리기도 전에 꽃이 먼저 피고, 또 꽃이 진 후엔 꽃샘추위가 불어 특히 과일나무들이 냉해를 입지 않을까 걱정이 많다네요. 이번 달에는 무슨 책을 소개해주실지 기대가 됩니다. 

P : 이병주(那林 李炳注, 1921~1992) 씨는 마흔이 넘어 늦은 나이에 등단[1]했음에도 초인적인 필력으로 수많은 장편 단편 소설을 남기고 갔습니다. 이번에는 그의 소설과 수필 몇 편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제가 그분이 작고한 나이가 되니 "사람은 무엇을 남기고 가는가", 또 "무엇으로 기억이 될 것인가" 하는 본질적인 의문이 들었기 때문이예요. 

 

G : 이병주 선생 하면 떠오르는 게 있어요. 빨치산이 주인공인 장편 대하소설 《지리산》, 나중엔 표절 시비에 휘말렸지만요. 또 구한말 이상사회 건설을 꿈꾸었던 《바람과 구름과 비》, TV드라마로도 만들어졌죠. 우리나라에선 보기 드물게 이념과 사상, 정치 문제를 큰 스케일로 그렸던 작가로 기억됩니다. 

P : 그래서 '한국의 발자크'라고 불렸어요. 마치 《인간희극》을 쓴 발자크(Honore de Balzac)가 나폴레옹을 숭배하였고, 부르주아의 왕성한 경제활동에 따른 산업의 발달을 찬양했던 것처럼요. 지금은 거의 볼 수 없지만 이병주 씨는 신문ㆍ잡지 연재소설을 동시에 5~6편씩 연재하면서 외제 자가용차를 몰고다닌 소설가로 이름을 날렸어요.[1]

 

* 오늘날의 알렉산드리아의 스카이라인. 출처: shustrik, Freepik

 

G : 오늘은 무슨 책을 들고 오셨어요?

P : 정년퇴직할 때 학교 연구실에서 가져온 책을 2차로 정리하면서 발견한 아주 오래된 이병주 씨의 《허망과 진실 - 나의 문학적 편력 (동양편)》입니다. 이 책을 다시 읽으면서 작가로서의 사명을 '기록자'라고 한 사마천에게 꽂혔습니다. 그의 《사기(史記)》 집필동기가 오래도록 마음에 남았어요. 저 역시 "내가 배우고 공부한 것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후세에 남기자"는 생각을 줄곧 하고 있었거든요.

 

G : 우선 1965년에 처음 출간되어 국내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던[2] 《소설 알렉산드리아》 이야기부터 해 주셔요. 이집트를 정복한 알렉산더 대왕이 자기 이름을 딴 항구도시를 건설한 곳 아닌가요? 오래전 화재와 지진으로 사라졌지만 알렉산드리아의 도서관, 등대는 불가사의(Seven Wonders of the Ancient World)에 속하는 건조물도 있었다고 들었어요.

P : 맞습니다. 저는 1970년대 대학 다니면서 문고본으로 읽고 어찌나 감동을 받았던지 지금도 당시의 감동이 생생합니다. 우선 지도책에서만 보았던 이곳을 한번 가보고 싶다. 주인공의 동생이 얼마나 잘 했으면 세계 사람들이 모이는 그곳 도심의 캬바레에서 관악기 연주자로 이름을 날렸을까. 옥에 갇혀 있는 주인공처럼 나도 고시준비를 하느라 꼼짝할 수 없는데 어서 빨리 자유롭게 해외여행을 다닐 수 있으면 좋겠다 이런 꿈을 꾸었었죠. 그리고 한국에도 이렇게 세계를 무대로 한 소설이 있다고 자랑할 수 있게끔 영어로 번역할 생각도 했어요.

 

G : 아, 그랬어요? 드물게도 이 책은 영역본[3]이 있다고 들었습니다만 ······.

P : 그럼 이 소설의 처음 시작 부분을 비교해 보도록 하지요. 

 

나는 눈을 감은 채 염불 외우듯 하는 시의 한 구절이 있다. 한용운 선생의 다음과 같은 시다.

“타고 남은 제가 다시 기름이 됩니다.”[4]

타고 남은 재가 다시 기름이 된다는 사상, 너는 모를 것이다. 재에서 잿물을 만든다는 사실을.

무엇이든 타면 재가 남는다, 모두들 재가 끝장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끝장이라고 생각한 재에서 만든 잿물로써 인간이 입는 옷의 때, 아니 인간의 때를 씻는 것이다.

어떻든 타고 남은 재가 다시 기름이 된다는 사상엔 구원이 있다.

나의 정신은 이 구원으로 해서 빙화(氷化)를 면한다. 그러니 걱정할 건 없다. 영하 20도는 영하 31도보다는 덜 차다. 설혹 영하 30도가 된다고 하더라도 영하 31도보다는 덜 차가울 것 아닌가.

인간의 극한 상황이란 숨이 끊어지는 그 순간을 두고는 없다.

 

아침 세수하러 나가면서 보니 천지는 백설에 뒤덮여 있었다. 높은 담벼락 위에, 띠엄띠엄 배열된 붉은 벽돌의 옥상 위에, 앙상한 고목의 가지마다 은빛 눈이 흐뭇했다. 나는 그러한 건물과 수목 사이를 걸어 세면장으로 가면서 오면서 북구라파의 어떤 설국(雪國)의, 어떤 대학의 캠퍼스를 걷고 있는 것 같은 환각을 가져보았다.

그랬는데 지금의 나는 너와 더불어 알렉산드리아에 있다는 환각을 얻으려고 애쓰고 있다. 진짜의 나는 너와 다불어 알렉산드리아에 있고, 여기에 이렇게 웅크리고 있는 나는 나의 그림자, 나의 분신에 불과하다는 환각을 키우려는 것이다.

사랑하는 아우, 웃지 마라. 고독한 황제는 이제는 환각 없이 살아갈 수 없다.

 

Ash becomes oil again.

Did you know that? Lye is made from ash. Everything that’s burned leaves behind ash, and everyone thinks that ash is the end. But with the lye, people wash away the dirt from their clothes, or the dirt from themselves and others. There’s salvation in the idea.

My spirit can escape the unstoppable ice through such salvation. Therefore, there’s nothing to worry about.

Minus (-) 20 degrees is not as cold as -31. Even if it drops to -30, it still won’t be as cold as -31. There’s no extreme situation for human beings other than the moment of breathing the last breath.  (17쪽)

 

 

G : 많은 사람이 모여드는 국제도시라면 파리도 있고 런던도 있는데 하필이면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일까 궁금한 것은 저도 언제 그 소설을 읽어보도록 하겠습니다. 가수 조용필이 노래 제목을 "킬리만자로의 표범"이라고 하여 국제적 주목을 받은 것 같다고 할까요?

P : 제가 알렉산드리아 소설을 꺼낸 것은 이병주 씨가 군사혁명정권에 의해 사상범으로 몰려 옥고를 치른 것에 한(恨)을 품었고 이것을 일종의 알레고리로써 소설을 통해 풀어낸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사마천이 《사기(史記)》를 통해 사관(史官)으로서 궁형(宮刑: 거세형)을 받은 원한을 풀고자 했던 것을 염두에 두었던 것 같습니다. 그의 《허망과 진실(下)》를 보면 사마천의 부친 또한 漢나라 조정에 한이 맺혔었다고 해요. 

 

한나라의 사관(史官)이었던 아버지 사마담(司馬談)은 아들의 손을 잡고 울고 아들은 머리를 숙이고 눈물을 흘렸다. 그의 직책상 국가적 의식을 주재 (主宰)해야 하는데도 그러질 못했으니 사관인 자기가 완전히 무시당한 것으로 여겼다. 이것은 개인적인 치욕일 뿐만 아니라 성스런 전통을 더럽힌 예다. 역사가란 원래 그러한 경멸을 당해선 안 된다. 그래서 사마담은 분을 발했다.
"좋다. 천자(天子)는 나를 보잘 것 없는 존재로 알고 있는 모양이지. 좋다. 이제야말로 역사가의 힘, 기록자의 힘을 발휘해야 할 때가 왔다. 그런데 나는 분을 발하고 죽어야 한다. 그러나 역사가는 죽을 수가 없다. 내 분한 감정을 네가 이어받아 네가 역사를 써야 한다."
이것이 아들 천(遷)에게 남긴 담(談)의 감정이었다. 사마천이 「사기」를 쓰지 않을 수 없었던 제 1의 동기가 바로 여기에 있다. "나의 분한 감정을 이어받아 네가 역사를 써라."
아버지의 이 명령이 있은 것이 원봉원년(元封元年: BC 100), 그리고 다음다음 해 원봉 3년 태사령이 된 사마천(司馬遷)은 궁중이 비장하고 있는 역사 기록을 읽기 시작했다. 이어 천(遷) 은 아버지의 유언을 가슴에 새기고 「사기」의 저작에 정열을 쏟았다. 그리고 10년간, 이 동안 그의 심상(心象)의 내용과 빛깔이 어떠했는가는 각인 각자의 마음의 깊이로써 짐작할밖엔 없다. 「태사형 자서(太史令自序)」에 인용한 동중서 (董仲舒)의 말을 통해 그 대의 그의 기분을 살펴보기 위한 암시를 얻을 수는 있다.
"주도(周道)가 쇠하였을 때 공자는 노(魯)의 사구(司寇)였다. 계후들은 이것을 싫어했고, 제대부(諸大夫)들은 갖가지 방해를 놀았다. 공자는 자기의 의견이 채택되지 않고 자기의 도(道)가 행 해지지 않을 것을 알자 기왕 242년간의 사적을 비판하여 천하의 의표(儀表)를 만들었다. 그로써 공자는 천자(天子)를 폄(貶)하고 제후를 비난하고 대부(大夫)들을 논란(論難)하여 스스로 왕사(王事)를 달한 것이다."
  (130쪽)

 

G : 한고조 유방(劉邦)은 평민 출신으로 항우(項羽)를 물리치고 황제의 자리에 오른 인물인데 어찌하여 사마천의 원한을 사고 불세출의 역사가 남성을 거세한 악한으로 기록이 되었을까요? 

P : 사마천은 38세 때 아버지의 뒤를 이어 태사령, 즉 세습직인 사관이 되었습니다. 그가 47세 때 한나라의 명장 이릉(李陵)이 대군을 이끌고 흉노 군대와 싸우다가 사로잡혀 항복하는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사마천은 한무제의 명을 거역하고 이릉 장군을 구명하려다가 죄인으로 몰렸어요. 그 이듬해 이릉의 가족은 주멸당하고 사마천도 궁형을 당했던 것입니다. 그는 50세에 출옥하여 사기 저작에 착수합니다. 그 사이 자기가 한 일이 옳았다는 글도 쓰고 BC 91년 55세 때 사기를 완성합니다. 그리고 한무제의 미움을 사서 절필했다가 한무제가 죽은 뒤 2년 후에 BC 84년 62세로 세상을 떠나지요.

 

기록자는 기록을 통해서 역사상의 재판관이 될 수가 있다. 기록하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그것을 통해서 왕사(王)를 선명(宣明)하는 데 있다. 그런 까닭으로 기록자는 먼저 비판가라야 한다. 선명할 왕사란 무엇이냐. '난세(亂世)의 난세인 까닭을 설명해서 바른 길로 돌리는 행위'다. 역사가는 나쁜 놈을 나쁘다고, 배척할 놈은 배척하고 죄 지은 자를 규탄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억울한 처치에 있는 자기 자신의 위치를 적당한 곳으로 돌리고 현세(現世)에 있어서의 비운을 역사상의 승리로써 상환하려는 것이다.
그런 까닭으로 사마천은 「춘추(春秋)」의 의도를 자기의 의도로 할 작정인 한, 한대(漢代)를 난세라고 보지 않을 수 없었다. 제 1의 전기는 이미 말한 바와 같이 '분(憤)한 감정으로 산다'는 아 버지의 유언이 명(命)한 데 있었다. 이를테면 자발적인 것이 아니었다. 그런데 그가 스스로 비판자로서 분(憤)을 가지고 한대 (漢代)를 난세로 규정하여 그것을 대상으로 하기까지엔 보다 큰 대 사건이 있어야만 했다. 그로 하여금 한대(漢代)의 세상, 한대의 세계, 한대의 인간을 분(憤)으로서 삼게 하기 위해서 하늘은 그 에게 천한(天漢) 2년(BC99), 이릉의 화(禍)를 내린 것이다. 그가 참된 뜻으로 현대사를 쓰려고 결심하게 된 것은 바로 이 사 건으로 인한 충격이 아니었던가 한다. 이 사건으로 그는 그의 부친이 느낀 분에 수십 배 되는 분을 발(發)했다.
그의 굴욕은 무겁고 깊은 치명적인 것이었다. 그는 드디어 기록자로서 어떠한 군주보다도 강력하게 역사상에 살아 남기를 기도한 것이다. 그는 기록을 통해 그에게 궁형(宮刑)이란 치욕을 안겨 준 무제(武帝)의 전능(全能)을 무색하게 하는 방법을 추구하기에 이르른 것이다.
  (131-132쪽)

 

G : 이병주 씨도 사마천의 입을 빌어 자기가 필화사건으로 감옥에 들어간 것에 분을 품고 박정희 정권이 우리의 현대사를 농단한 것을 사관과 같은 안목에서 기록하고 바로잡으려 한다는 것을 선언한 셈이군요.

P : 일리가 있는 말씀입니다. 제가 볼 때 이병주 씨는 정사(正史)를 기록하기 보다는 그 뒷이야기를 재미있게 쓰는 데 주력하였습니다. 사마천이 사기를 전통적인 편년체 방식이 아니라 그만의 독특한 체제로 구상했다는 다음의 설명을 들어보세요. 

 

사기는 먼저 그 구상에 있어서 수발(秀拔)하다. 종래의 역사는 모두 편년체 (編年體), 즉 연대기적으로 되어 있었다. 서양의 역사도 대개 편년체로 되어 있다. 헤로도토스, 타키투스의 역사는 한 줄기 이야기의 흐름으로서 전개된다. 그들은 역사의 내용, 그 중점의 소재, 표현의 방법엔 신경을 썼지만 역사를 이해하려는 본질적인 구상을 갖지 않았다.
사마천은 복잡한 세계의 내력을 구하기 위해서 가장 적당한 방법이 무엇일까 하고 먼저 구상했다. 나는 사마천이 쓴 사기의 내용은 읽지 않더라도 그 구상의 묘(妙)만은 알아두어야 할 것이란 생각을 가진 적이 있다. 그만큼 그 구상은 기막힌 것이다. 사마천은 그 구상에 있어서 이미 천재였다. 사기는 다음과 같은 구성 이다.

본기(本紀) 12권, 서(書) 8권, 표(表) 10권, 세가(世家) 30권, 열전(列傳) 70권

그는 역사를 정치의 역사로서 보았다. 그런데 그가 뜻하는 정치란 '작용하는 힘'이다. 그 힘의 주체는 정치적 인간이다. 정치 적 인간의 중심, 그 중심을 찾아 기록한 것이 「본기(本紀)이다. 중심이 되는 정치적 인간을 둘러싸는 정치적 인간들의 집단이 또 있다. 그 집단을 기록한 것이 「세가(世家)」이다. 정치적인 인간은 또한 독립된 개인이기도 하다. 그래서 그 개인들을 기록하기 위해 「열전(列傳)」을 만든 것이다. 「서(書)」는 역대의 법률, 법령(法令)을 기록한 것이며 「표(表)」는 즉 연대표(年代表)이다.
이렇게 해서 역사의 윤곽을 파악하고 그가 소망한 바 세계상(世界像), 역사상(歷史像)을 추측했다. 말하자면 이상 5종의 체열(體列)은 각각 독립해 있으면서 서로 관련되고 서로 보충해서 각 방면으로부터 역사를 취급하려고 하는 완비적(完備的)인 역사기술 방법을 시사하고 있다. 그리고 내용에서 형식에 이르기까지 과학적인 기초 위에서 그 계통성과 다양성, 심원성 (深遠性)을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해서 사기(史記)는 '究天人之際, 通古今之變'(하늘과 사람의 관계를 궁구하고 고금의 변화를 꿰뚫어 이었다)하는 목적을 달하려고 했다. 그러니 그 내용은 역사적 사실 이라고 하더라도 그 방법에 있어선 위대한 창작이다.
  (134-135쪽)

 

G : 아, 이제 알겠군요. 이병주 씨는 말 한 마디 잘 못한 죄[5]로 옥고를 치룬 것을 사마천의 사기에 빗대 억울하게 옥살이하는 사상범을 주인공으로 내세웠어요. 그를 통해 자기변론을 하고자 했는데 그것이 소설 알렉산드리아의 주제로 삼았습니다. 무대를 알렉산드리아로 정한 것도 절묘합니다. 고대 영웅의 이름을 따서 건설된 이국적인 도시가 자기의 사상이 옳음을 입증하기 위해, 복수를 위해, 정의가 살아 있음을 보여주기 위해 행동하는 사람들을 어떻게 취급하는지 보여줄 수 있다고 생각했던 겁니다.

P : 한 가지 더 이집트는 이슬람 국가이므로 우리가 상식적으로 아는 서양의 법제와 이론이 아니라 쿠란이 우선적으로 적용되는 곳이지요. 소설 속에서는 살인이 벌어지는데 법정에서 작가가 옳다고 여기는 바에 따라 변론을 하고 판결이 내려지더라도 이의할 사람이 없을 겁니다. 위에서 말한 바와 같이 변호사나 재판관보다 더 높은 왕이 하는 일(王事)을 작가가 마음 놓고 할 수 있었습니다. 

 

G : 그러고 보니 이병주 씨도 카에사르와 클레오파트라, 안토니우스가 살았던 알렉산드리아에 가 보고 싶었을 거예요.

P : 1960년대 초 4.19와 5.16이라는 혁명을 연거푸 겪고나서 우리 국민들도 군사정부의 여러 가지 정책과제와 실천강령에 점차 피로를 느끼기 시작했을 때입니다. 꿈에도 가볼 수 없는 이국적인 도시와 캬바레의 환락적인 분위기, 치정극복수극을 버무린 사건 전개에 독자들이 열띤 반응을 보였으리라는 건 쉬 짐작할 수 있어요. 당시 신춘문예나 유력 문인의 추천으로 등단하지도 않은, 전직 언론인 출신의 反혁명 사상을 가진 새내기 작가의 처녀작이라는 점에서 화제만발이었다고 해요. 

 

G : 알렉산드리아 소설책은 저도 언제 한번 읽어보기로 하고 작가의 기록자ㆍ비판자 정신이 드러난 다른 작품도 소개해 주셔요.

P : "햇빛에 바래면 역사가 되고, 달빛에 물들면 신화가 된다"면서 쓴 대하소설 《산하》, 또 1972년 7.4 공동성명으로 조성된 남북 화해무드에 힘업어 연재를 시작했다가 나중에는 표절 시비에 휘말린 《지리산》, 그를 감옥에 쳐넣었던 군사정권의 《그해 5월》 등 그가 아니면 기록될 수 없는 현대사의 굵직한 사건들이라 하겠습니다. 그밖에 《행복어사전》, 《쥘부채》같이 시니컬하고 센티멘털한 소설도 여러 편 있는데 하나같이 고등 룸펜(Lumpen)이 나옵니다. 생활력 강한 여자에 빌붙어 사는 찌질남들이 알고 보면 반전이랄까 내공이 대단한 인텔리겐치아(Intelligentsia)인 거예요.

 

G : 평론가 김윤식 교수는 이병주의 작품 하나하나가 대한민국의 현대사를 기록한 것이라 평가하셨다지요?

P : 하지만 주취(酒醉)에 교통사고로 죽은 시인 김수영과 마지막으로 술을 마셨다는 죄(김수영이 이병주의 부르주아 자가용차를 한사코 타지 않겠다며 길을 걷다가 발생한 사고였음)로, 정식으로 등단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문단에서는 그를 외면하였습니다. 그럼에도 이병주는 알아주는 문학상을 3개나 수상했어요. 그는 원고료와 인세 수입이 풍부했고 그가 소설에서 즐겨 다루었던 것처럼 그의 주변에는 여자가 끊이질 않았어요. 

 

G : 아~ 평균적인 시인, 소설가들하고는 너무나 차이나는 삶을 살았기에 외면이 아니라 질시의 대상이 되었겠는데요.

P : 이병주는 사상과 이념에 관한 주제의식을 비롯하여 작가와 작품 모두 아직도 논란의 대상으로 남아 있습니다. 누구보다도 이병주에 대해서 많은 자료를 수집하고 그의 작품을 깊이 있게 천착하여 2022년 그의 평전(評傳)을 발표한 전 서울대 안경환 교수의 평가로 이에 갈음하고자 합니다.  

 

"역사는 산맥을 기록하고 나의 문학은 골짜기를 기록한다."

"태양에 바래면 역사가 되고 월광에 물들면 신화가 된다."
단순한 수사가 아니라 소설가 이병주의 사상과 문학의 진수를 대변하는 잠언이다. 역사는 기록과 기억을 두고 벌이는 후세인의 싸움이다. 공식 역사는 승자의 기록이다. 태양 볕 아래 훤히 드러난 승자의 위용을 후세인이 기릴 때, 달빛에 시들은 패자의 한숨은 전설과 신화의 세계로 침잠한다.

역사의 수레바퀴에 짓밟혀, '행간에 깔린 가냘픈 잡초', '역사에 기록되지 않은 작은 생명들의 서러운 이야기'를 쓰기 위해 그는 작가가 되었다고 했다.
몽블랑 만년필 한 자루에 71년의 정과 한의 삶과 수백 년 통분(痛憤)의 나라 역사를 실었던 대한민국의 작가 이병주.

그의 굴곡진 생애와 시대를 담은 이야기, 운명이라는 이름 아래 펼쳐진 사랑과 사상의 역정(歷程)도 시대의 작은 삽화로 남을 수 있다면 글쓴이의 보람과 축복이 아닐 수 없다. - 안경환

 

* 책속에 파묻혀 원고집필에 몰두하고 있는 작가 이병주 (1986)

Note

1] 이병주는 1921년 경상남도 하동에서 태어났다. 1936년에 진주공립농업학교(현 경상대학교)에 입학했으나 1940년 중퇴하고, 일본으로 건너가 1941년 메이지대학교 불문과를 다녔다. 1943년 9월 메이지대학 졸업 후 학병으로 징집되어 간부후보생으로 중국 쑤저우에서 종전을 맞았다. 1945년 광복 직후 귀향하였으며, 1946년부터 진주농림중학교 교사, 경남대학교 교수직을 맡았으며, 부산에서 국제신문의 주필 겸 편집국장으로서 활발한 언론활동을 펼쳤다.
1961년 5.16 직후 필화사건으로 인해 투옥되었다가 2년 7개월만에 출소했다. 1965년 7월 옥에서 구상했던 중편 《소설 알렉산드리아》를 「세대」에 발표하면서 작가 활동을 시작했다. 이 소설은 전통을 탈피한 새로운 서술 방식으로 당시 큰 반향을 일으켰다. 또한 그의 소설에는 그가 경험했던 시대에 대한 의식, 남성적인 필체 등으로 인기를 끌었다.
이후 왕성한 필력을 과시하며 지속적으로 소설들을 출간했다. 대표작이라고 할 수 있는 《관부연락선》, 《지리산》, 《산하》, 《소설 남로당》, 《그해 5월》, 《마술사》, 《예낭풍물지》, 《바람과 구름과 비》, 《행복어사전》 등을 발표했다. 마흔네 살의 늦은 나이로 등단했지만 사망할 때까지 27년 동안 한 달 평균 1천여 매를 써내면서 80여 권이 넘는 책들을 출간했다. 1976년 장편 《낙엽》으로 한국문학작가상을, 1977년 중편 《망명의 늪》으로 한국창작문학상을, 1984년 장편 《비창》으로 한국펜문학상을 수상했다. 1992년 미국에서 언론사 주재원으로 근무하면서 전두환의 전기를 구상하던 중 갑자기 별세했다. 출처: 나무위키 이병주.

 

2] 이 소설은 1960년대의 유력 종합월간지였던 「세대」에 실렸는데 이 잡지의 주간이던 시인 신동문의 강력한 추천에 따른 것이었다. 그는 「새벽」에 최인훈의 《광장》을 실었던 인물이기도 하다. 반신반의하며 이병주의 옥중기를 검토한 「세대」 편집장 이광훈은 잡지 총 지면의 4분의 1을 할애해 이 중편소설을 전재(全載)하였고 독자들의 반응은 가히 폭발적이었다.

 

3] 소설 알렉산드리아를 공동 번역한 윤채은과 William Morley는 2007년 코리아 타임스의 시 부문 번역문학상을 나란히 수상한 인연으로 이 소설도 함께 번역하였다. 중문판 《小說 亞歷山大》와 영문판 Alexandria는 각각 2011년, 2012년에 이 소설의 한글판을 출판한 바이북스에서 간행되었다. 이와 같이 한국에서는 수많은 작품과 열띤 독자들의 반응, 영어와 중국어 출판이 있었음에도 소설가 Lee Byung-ju는 해외에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은 실정이다. Wikipedia 영문판이나 챗GTP, MS의 새 Bing에서 찾아보아도 그에 대한 설명은 매우 빈약하였다. 실로 무라카미 하루키(村上春樹, 1949~ ) 같은 일본 작가와는 대조적이었다.

사실 이병주와 하루키는 비슷한 점이 한둘이 아니다. 현학적이고 스토리텔링이 강한 베스트셀러 작가라는 점에서나 남녀상열지사(男女相悅之詞)가 반드시 한 자락 등장하는 점에서 그러하다. 여기서도 소개한 바 있는 하루키의 《국경의 남쪽, 태양의 서쪽》, 《드라이브 마이카》도 예외는 아니었다. 이병주는 아주 대놓고 쓴 《에로스 문화탐사1, 2》(생각의 나무, 2002) 서문에서 "생명이 있는 곳에 에로스의 찬가가 있다"면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나는 칸트와 마르크스가 그 사고의 일부를 호모에로티쿠스의 연구에 할애하지 않았다고 탓하는 것은 아니다. 무릇 철학자란 스스로 가능을 기하고 그렇게 자부할 수 있는 경우라도 어느 시대 철학의 총체성을 이루는 과정에서 한 분업적 과정을 담당할 수 있을 뿐이다. 헤겔이 가장 좋은 예이다. 그런 뜻에서 프로이트의 등장은 중대한 의미를 갖는다. 프로이트의 학설이 어느 정도로 타당한 것인지를 논할 자격이 내겐 없다. 다만 말할 수 있는 것은 종래에 있어선 자명한 것으로 쳐버린, 아니면 생리학의 문제나 도덕의 문제로서 맡겨버리면 그만인 것으로 알려졌던 섹스를 제일의적인 문제로 제기해서 인간인식의 차원을 달리하여 새로운 지평을 개척하게 된 계기야말로 획기적인 것이었다는 점이다. 요약해서 말하면 답안의 내용은 고사하고 그 문제의 제기만으로도 충분히 의미가 있다는 것이다.

 

 

4] 만해 한용운의 시 "알 수 없어요"의 마지막 연에 나오는 유명한 시 구절이다. 서지문 교수는 여기서의 '기름'을 등잔불을 밝히는 기름으로 번역했으나, 옥중에서 면벽수도하고 있던  이병주는 자기의 전과(前科)를 씻어낼 수 있는 양잿물로 해석하고 소설을 구상하였음을 알 수 있다.

타고남은 재가 다시 기름이 됩니다.
그칠 줄 모르고 타는 나의 가슴은
누구의 밤을 지키는
약한 등불입니까.

 

5] "조국은 없다. 山河가 있을 뿐이다." 1960년 4·19혁명 이후 열린 정치적 공론장에서 이병주는 자신의 소신인 ‘중립화 통일론’을 골자로 한 논설을 썼다. 이 논설로 그는 5·16 군사혁명이 일어난 직후 ‘용공분자’로 지목돼 혁명재판소에서 10년형을 선고받았다. 군부에서는 교원노조의 결성에 참여했던 전력을 의심한 데다 조국을 부정하고 통일을 위해 반공을 포기할 수도 있다는 그의 주장을 용공(容共)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다행히 감형되기는 했으나, 무고한 옥살이에 대한 분노는 조금도 삭지 않았다. 게다가 당국의 감시 탓에 자유롭게 글을 쓸 처지도 못 되었다. 그에게 소설은 허구에 의지해 자신을 드러낼 수 있는 유일한 출구였다. 정주아 (강원대 교수), [이병주 타계 30주기…새로 읽는 나림 명작] <10> ‘소설 알렉산드리아’, 국제신문, 2022. 11. 27.

 

사람이 만들어가는 세상을 더 보시려면 이곳을 클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