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을 한 바퀴 도는 일주여행의 출발지는 튀빙겐이었다. 중세의 자취가 많이 남아 있을 뿐만 아니라 이번 여행의 가장 큰 방점인 호엔촐레른 성에 접근하기 쉽기 때문이었다.
독일 어느 도시나 그러하지만 녹지가 잘 보존되어 있고 창틀은 물론 다리 난간도 꽃화분으로 예쁘게 장식되어 있었다. 그리고 보도는 거의 예외 없이 타원형으로 둥글게 배열된 네모난 돌로 포장되어 있었다.
시멘트와 벽돌이 비쌌던 중세에는 나무로 틀을 짜고 진흙으로 벽체를 만들었다.
이 모양 그대로 다른 곳에 옮겨지을 수도 있는데 위 사진처럼 창문이 밖으로 돌출한 것은 토지점용료를 물지 않고 2층부터 공간을 추가로 확보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독일 전국을 여행해 보니 남부 지방 외에는 높은 산이 별로 없고 숲이 잘 가꾸어져 있었다.
공업국가임에도 각종 농기계를 활용한 농업과 목축업이 상당히 발전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너른 밭에서 일하는 농부는 찾아볼 수 없었으나 체계적으로 경작되어 있었다.
고속도로를 달리던 중 평지돌출한 삼각형의 지형이 눈길을 끌었다. 바로 호엔촐레른 성이었다.
이 성은 구릉지대에 우뚝 솟은 산 위에 축조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원뿔 모양을 하고 있었다. 엄청난 에너지의 보르텍스(vortex)가 느껴지는 것 같았다.
그 때문에 누가 보든지 일세를 풍미할 가문의 본거지이자 날카로운 모습으로 인해 찌르거나 깨질 것 같은 강한 인상을 주었다. 여러 왕국과 공국으로 사분오열되어 있던 독일을 통일한 프로이센의 역사가 그러했다.
호엔촐레른 가(Haus Hohenzollern)는 어떻게 프로이센을 다스리고 독일을 통일하여 제국을 건설하였는가?
호엔촐레른 성의 기념관에는 그려져 있는 족보(가계도)에 의하면 11세기에 이 지역을 다스리던 영주에게 두 아들이 있었는데 장남 프랑켄계는 독일 남부지역을 다스리면서 오스만 튀르크의 진출을 저지하고 신성로마제국에 충성을 하여 기반을 다졌다. 차남 슈바벤계는 일부 영토가 프랑켄계에 흡수되었으나 동유럽에 장가 든 후손이 1881년 루마니아 왕국을 개창하고 1947년 이 나라가 공산화될 때까지 존속하였다.
그런데 중세 유럽에서는 왕위는 아들만이 계승할 수 있다는 살리카 법(Lex Salica)이 있어 남자의 대가 끊겨도 조카나 삼촌이 왕위를 계승하는 식으로 호엔촐레른 왕가가 지속될 수 있었다.
결정적으로 왕국의 기틀을 세운 것은, 나중에 상수시 궁전을 방문할 때 살펴보겠지만, 프리드리히 대왕이었다. 나폴레옹이 유럽 전역을 석권하기 직전에 프로이센의 부국강병에 힘써 나중에 독일제국이 성립할 수 있는 확고한 기반을 마련하는 데 성공했다.
프로이센의 국가경영 방식은 군국주의였는데 메이지 유신 후의 일본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세계평화를 위해 이것을 바꿀 기회가 딱 한 번 있었다. 카이저 빌헬름 1세의 아들 프리드리히 3세는 영국 빅토리아 여왕의 장녀 빅토리아 공주와 결혼을 하여 같은 독일계인 장인 알버트 공을 많이 따랐을 뿐만 아니라 영국식 민주정치 제도를 선호하였다.
프리드리히 황태자는 종종 비스마르크 수상의 정책에 반기를 들고 서민을 위한 정책을 폈으며, 보불전쟁 중에는 적군 포로를 인도적으로 대우할 것을 지시하기까지 했다. 그러나 후두암을 앓고 있던 2대 카이저의 재위기간은 1988년 겨우 99일로 끝나버렸다. 안타깝게도 그의 성격을 전혀 닮지 않고 할아버지를 빼어닮은 빌헬름 2세가 왕위에 오르면서 독일제국은 더욱 더 군국주의의 길로 나아갔다. 당연히 의회 민주주의를 보고 자란 모후 빅토리아와의 사이도 아주 좋지 않았다고 한다.
도로 주변의 산에는 울긋불긋 단풍이 들어 있고 집들은 어느덧 스키어들이 몰려들 스키 시즌에 대비하고 있는 것 같았다.
얼마 달리지 않아 다시 독일 영내로 들어왔다. 같은 EU 회원국이라서 일부 도로표지가 조금 다른 것 말고는 국경경비대 초소도, 세관(CIQ)도 없었다. 그러나 귓청에 가해지는 압력을 해소하기 위해 침을 꿀꺽 삼켜야 할 정도로 이미 고산지대에 올라와 있었다.
저녁식사를 마치고 메인 스트리트를 거닐었다.
이곳은 동계올림픽 개최지답게 4계절 스포츠를 즐길 수 있게끔 뮌헨과의 열차 교통편이나 추크슈피체 산정(해발 2,962m)에 올라가는 산악열차와 케이블카(ropeway)가 완비되어 있다. 불현듯 무더운 여름철에 이곳 펜션에서 몇 주 지내다 가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Travel'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일 4] 전쟁을 겪은 밤베르크와 드레스덴 (0) | 2018.10.13 |
---|---|
[독일 3] 바이에른 루트비히 2세의 린더호프 궁 (0) | 2018.10.12 |
[독일 1] 역사와 인생의 교과서 - 독일, 독일인 (0) | 2018.10.10 |
[가을나들이] 퇴촌과 양평에서의 하루 (0) | 2018.10.03 |
[Java] 인도네시아에서만 볼 수 있는 것들 (0) | 2018.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