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vel & People

People

[정서적 이해] 예전엔 미처 몰랐어요~

Onepark 2021. 3. 28. 10:45

영화 "미나리"를 보기 전에는 '미나리꽝'이라고 불리는 논밭에서 키우는 미나리가 그렇게 미국 이민가정에 힘이 될 수 있었는지 몰랐다. 시골에서는 거머리만큼이나 흔했기에 새봄에 무쳐서도 먹고 국에 넣어서도 먹고, 복어탕에는 수차례 보충해가며 끓여 먹었던 아삭하면서도 달콤한 맛을 선사하는 미나리의 의미를 예전엔 미처 몰랐다.

단지 미나리가 어떻게 생겼고 무슨 맛인지 알고 있다는 '인지적 이해'와는 달리 미나리가 큰 힘이 된다는 느낌은 겪어보지 않고서는 알 수 없는 '정서적 이해'라고 할 수 있다. 바로 이 느낌을 김소월은 달을 향해 다음과 같이 노래했다.

 

* 미 유타주 라살 산 위로 뜨는 보름달. 사진출처: NASA 2018

 

예전엔 미처 몰랐어요 --  김소월

I Didn't Know That Before    Kim Sowol

 

봄, 가을 없이 밤마다 돋는 달도
예전엔 미처 몰랐어요 
이렇게 사무치게 그리울 줄도
예전엔 미처 몰랐어요
달이 암만 밝아도 쳐다볼 줄은
예전엔 미처 몰랐어요
이 제금 저 달이 설움인 줄은
예전엔 미처 몰랐어요

The Moon rises every night regardless of season.
I didn't know that before.
Furthermore, what I miss you so much,
I didn't know that before.
I didn't look it up however bright the Moon shines.
I didn't know that before.
Now the Moon looks like a sorrow.
I didn't know that ever before.

(Translated by Prof. Whon-il Park)

 

역사적 이해로는 역사를 기록하는 권력을 잡은 자의 이해관계에 따라 철저히 무시되었다가 뒤늦게 알려진 사례도 적지 않다. 정말이지 다른 관점에서는 이렇게 위대한 조상이 있었음을 예전엔 미처 몰랐었다.

대표적인 사례는 신라시대의 '장보고'(張保臯, ? ~846)일 것이다. 그는 당나라에서 반당(反唐)세력 토벌로 큰 공을 세우고 해상무역을 통해 중국은 물론 아라비아까지 세력을 떨쳤지만 신라의 집권층에 역적으로 몰려 죽은 후에는 기록말소 형을 받고 말았다. 그 결과 정작 우리 후손들은 까맣게 잊고 있었으나 미국의 일본 학자 라이셔워 교수가 그의 저서에서 장보고를 '해상상업제국의 무역왕'라고 소개[1]하면서 그의 업적이 새삼 우리나라에 역수입되었던 것이다.

또 다른 사례는 역대 최고의 대상인(大商人) '임상옥'(林尙沃, 1779~1855)을 들 수 있다. 성리학이 지배하는 사농공상(士農工商)의 사회에서 임상옥은 조선 제일의 거부였음에도 역사가 문일평과 소설가 최인호[2]가 아니었으면 한낱 야사(野史)의 인물로 끝날 뻔했다. 우리나라가 정주영, 이병철 같은 세계적 기업인을 배출한 것도 이런 역사적 배경이 있기에 가능하였음에도 말이다.[3]

 

 

의미론적 이해는 새로운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때 그 대상을 새롭게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다.

비엔나 출신의 유태인 정신의학자로서 나치의 강제수용소에서 구사일생으로 살아남아 로고테러피(Logotherapy)를 창안한 빅터 프랭클이 주장하였다.[4]

그는 몸이 약했음에도 품속에 있는 원고뭉치를 뺏기지 않기 위해 부동자세를 취하여 나치 심사장교로부터 노동력이 충분하다고 인정받아 가스실 대신 강제노역장으로 배치되었다고 말했다. 그는 고통스러울 때면 더이상 나빠질 수 없는 환경의 강제수용소 대신 불이 환히 켜진 쾌적한 강당에서 강연을 하는 자신의 모습을 상상하곤 했다. 푹신한 의자에 앉아 그의 강의를 경청하는 사람들 앞에서 그는 강제수용소에 있는 죄수의 심리상태에 대한 이야기하고 있었다. 그 순간 그를 짓누르던 모든 것들이 객관적으로 변하고. 일정한 거리를 둔 과학적인 관점에서 그것을 보고 설명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런 방법을 통해 그는 그가 처한 상황과 순간의 고통을 이기는 데 성공했고, 그것을 마치 과거에 이미 일어난 일처럼 관찰할 수 있었다.

그 결과 프랭클은 수용소에서의 경험과 상념을 무슨 종이 조각에든지 한 글자라도 적어놓아야 했고 그것을 귀중품처럼 잘 간직했다가 마침내 수용소에서 살아남을 수 있었다고 한다.

 

신앙적 이해도 있을 수 있다.

3월 28일 부활절을 1주일 앞두고 온누리교회의 이재훈 목사님은 설교 중에서 고린도 후서에서 육신의 약함을 자랑한 사도 바울의 신앙고백을 예로 들었다. 그는 삼층천을 보고 오고 지극한 계시를 받았음에도 그것을 자랑하지 않고 오히려 육신이 약함을 자랑했다. 그리함으로써 그리스도의 능력이 그에게 머물러 있을 것을 믿었기 때문이다.

 

내가 받은 계시들이 지극히 큰 것으로 인해 나로 교만하지 않게 하시려고 내 육체에 가시 곧 사탄의 사자를 주셨습니다. 이는 나를 쳐서 교만하지 않게 하시려는 것입니다. 나는 이것이 내게서 떠나도록 주께 세 번이나 간구했습니다.[5] 그러나 그분은 내게 말씀하셨습니다.

"내 은혜가 네게 족하다. 왜냐하면 내 능력이 약한 데서 온전해지기 때문이다." (고린도후서 12장 7-9절)

 

* 이재훈 목사가 3.28 설교 중에 인용한 어록

 

또한 믿음의 조상이 될 수 있었던 사람은 대대로 신앙심 깊고 자손이 많은 욥이었으나 그에게는 고난을 안겨주셨다. 오히려 우상을 섬기는 집안에 자식도 없는 아브라함을 믿음의 조상으로 택하셨다. 그가 약점이 많은 사람이었기에 여호와에 대한 올바른 믿음을 갖고 믿음의 자식을 구하기 위해 애써 노력할 것임을 아셨기 때문이다.

 

Note

1] 장보고의 배를 타고 당나라에 유학을 다녀오고, 장보고가 세운 신라방 법화원에서 여러 달 지냈던 일본의 승려 옌닌(圓仁, 795~864)이 장보고에 대해서 쓴 기록(입당구법순례행기/入唐求法巡礼行記)을 하버드대 라이셔워 교수가 인용한 데서 비롯되었다. Edwin O Reischauer, Ennin's Travels in T'ang China, 1955.

 

2] 최인호가 1997년에 한국일보에 연재하였던 소설 「상도(商道)」는 2001년 출간 이후 20년 동안 총 누적 판매부수 500만 부에 달하는 초베스트셀러였다. 임상옥은 우리 역사상 장보고 이래 최고의 무역왕으로서 본디 절간의 행자승이었다가 연행사신을 수행하여 인삼과 홍삼 무역을 벌였고, 한때 추사 김정희, 홍경래와도 인연을 맺었던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다. 술잔을 가득 채우면 술이 새어버리는 '계영배(戒盈杯)' 일화가 등장하는 소설뿐만 아니라 2001~2002년 이재룡, 김현주 주연 동명의 TV드라마로도 방영되어 큰 인기를 끌었다.

영화로도 만들어진 소설 「쇼군(將軍)」은 제임스 클라벨이 "태평양을 항해하던 동인도회사 상선의 영국인 항해사 [나중에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막료가 되어 미우라 안진(三浦按針)이란 이름을 하사받은 William Adams]가 태풍을 만나 전국시대의 일본에 표착했다"는 역사책 한 줄을 보고 썼다고 한다. 그에 질세라 작가 최인호는 구 한말의 역사가 문일평의 한 쪽짜리 임상옥 평전을 읽고 이 대하소설을 구상했다. 우리는 한 여인을 사지에서 구해준 주인공의 인간성 뿐만 아니라 '죽을 死', '세 발 솥 鼎', '계영배'를 중심으로 우리 민족에게 뛰어난 '기업가정신(entrepreneurship)'이 있었음을 일깨워준 작가에게 경의를 표하지 않을 수 없다.

 

3] 그러므로 시나 소설, 인터넷 블로그, 인스타그램 등 적합한 매체를 골라 기록을 전달하는 사람의 역할도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왜냐하면 우리 조상을 빛나게 하는 일은 온전히 오늘을 사는 우리들 몫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필자도 이번에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를 쓴 풍석 서유구(徐有榘, 1764~1845)에 대해 한글 위키백과의 기사를 대폭 보충하고 영문 Wikipedia에도 같은 내용을 새로 올렸다. 백과사전은 프랑스 계몽주의자들의 백과전서, 청나라의 「사고전서(四庫全書)」뿐만 아니라 한국에도 농촌백과사전이 있었다는 것을 알리고 싶었다.

 

4] 「빅터 프랭클의 죽음의 수용소에서」는 이미 50년 전 공주사범대학장을 지낸 정태시 교수가 번역 출판한 바 있다. 해외여행 중 공항 서점에서 눈에 띄어 단숨에 읽고 국내 독자들에게도 빨리 소개해야겠다는 역자의 말을 읽은 기억이 난다. 최근에는 이시형 박사가 새로운 스타일로 번역한 책도 출간되었다. 빅터 프랭클 저, 이시형 역, 「빅터 프랭클의 죽음의 수용소에서」 (Man's Search for Meaning) - 죽음조차 희망으로 승화시킨 인간 존엄성의 승리(개정판), 청아출판사, 2020.

 

5] 필자가 그리스 코린토스를 여행할 때 문득 바울의 기도는 200% 이상 응답을 받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의 건강이 극적으로 회복되진 않았어도 주님은 그에게 절실히 필요한, 그의 건강을 보살펴줄 그리스인 의사이자 충직한 비서 누가를 붙여주셨던 것이다. 의사 누가는 사도 바울의 선교 행적을 꼼꼼히 기록하여 후대에 사도행전으로 전해주었을 뿐만 아니라 바울이 로마에서 감옥에 갇히고 마지막 처형될 때까지 그의 곁을 지켰다. 또한 사도 바울로부터 전해 들은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에 추가하여 그가 조사·수집한 자료를 가지고 내용이 충실하고 문장이 유려한 복음서를 집필하여 이방인임에도 성인의 반열에 올랐다.